개요
이벤트-컨센서스 투자 전략은 현재의 기업 또는 섹터 펀더멘탈의 컨센서스에는 변화가 없으나,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정 이벤트를 미리 예상하여 투자하는 전략입니다. 이 전략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이벤트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, 향후 이벤트가 실현되었을 때 컨센서스의 유의미한 변화를 통해 기업 가치와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합니다. 따라서 현 시점의 기업 자체는 변화가 없으며, 미래의 이벤트로 인해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가능성을 기반으로 합니다.
이벤트의 특성
투자의 핵심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이벤트입니다.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
-
컨센서스에 미치는 영향
-
이벤트가 발생했을 때, 기업 또는 섹터의 컨센서스(매출, 이익률, ROCE 등)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합니다.
-
단순한 뉴스성 이슈나 단기적인 소식이 아니라, 기업의 장기 가치에 실질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여야 합니다.
-
-
발생 확률
-
이벤트의 발생 확률은 반드시 정확히 계산할 필요는 없으나, 적어도 50% 이상의 확률로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합니다.
-
너무 낮은 확률의 이벤트는 투자 리스크가 과도하게 높아지며, 지나치게 높은 확률의 이벤트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-
-
시장 인지 여부
-
아직 시장에서 충분히 인지하거나 주가에 반영하지 않은 이벤트여야 합니다.
-
이벤트의 가능성이 이미 시장에 널리 알려져 주가가 상승한 상태라면 투자 매력도가 떨어집니다.
-
가격 (Price/Valuation)
이벤트 투자에서는 가격이 매우 중요하며,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
-
절대적 가격
-
현재 주가는 역사적 평균 대비 평균 또는 평균 이하 저평가의 영역에 있어야 합니다.
-
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미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면, 시장이 이미 미래 이벤트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는 뜻으로 투자 매력도가 떨어집니다.
-
-
상대적 가격
-
다른 경쟁 기업이나 섹터 대비 상대적인 가격은 중요하지 않으며, 기업 자체의 과거 평균 대비 저평가 상태인지가 핵심입니다.
-
과거 평균 대비 높게 거래된다면 이미 이벤트 발생 기대가 주가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투자 대상에서 제외해야 합니다.
-
-
주가 흐름
-
최근 주가는 뚜렷한 상승 없이 횡보하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.
-
주가가 상승한 상태는 이미 이벤트 발생 기대가 선반영된 것이므로 투자 매력도가 낮습니다.
-
주가가 정체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기대 이상의 큰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-